세상에 태어난 아이가 정말 눈에 들어가도 아프지 않을 만큼 가장 소중합니다. 부모보다 더 좋은 것을 입히고, 더 좋은 것을 먹이고 싶은 것이 부모의 마음입니다. 신생아시기를 지나고 유아기시기로 들어가면서 어린이집에 아이를 맡기게 되면서, 같은 반의 아이들과의 행동사항에 대해서 알게 되는 시기가 옵니다. 아이의 행동발달과 언어발달의 차이가 있겠지만, 부모들은 신경이 많이 쓰이게 되며 불안해하기도 합니다. 아이의 발달 수준은 평균적으로 통계를 내서 적용할 뿐이지, 아이들마다의 특색이 다르기 때문에 시기가 늦을 수도 빠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의 언어발달에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의 역할이라고 생각됩니다.
아이의 언어 발달시기
▶18개월-24개월
옹알이를 하는 시기를 지나 대체로 18개월부터 언어발달이 이루어집니다. 엄마, 아빠를 말하는 시기를 지나 단어의 수가 증가하기 시작합니다. 두 돌이 될 쯤에는 "물, 주세요"라는 문장을 말합니다. 아직 정확하게 단어를 붙여서 말을 하는 시기가 아닌, 자기표현을 말하는 시기입니다.
▶24개월-48개월
아이의 언어가 정말 빠르게 성장하는 시기입니다. 단어의 수와 문장을 길게 하는 수준으로 성장하며, 가끔은 어른들이 사용하는 단어를 구사할 때도 있습니다. 부모와의 언어소통이 자연스럽게 가능하는 시기입니다. 자기표현을 더 확실하게 하는 기입니다.
▶48개월-60개월
주변사람들과의 상호작용으로 쌓인 언어발달이 가장 급성장하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어휘를 구사하는 능력도 중요하지만, 아이와의 소통을 하는 법을 알려줘야 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주변사람들의 역할이 가장 중요합니다. 사용되는 언어로 상호작용되며, 언어로 인한 감정을 느끼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대부분 이 시기에 언어발달이 마무리되는 단계이기 때문에 중요한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언어발달에 좋은 습관
▶사물인식을 시켜주자
과일, 동물, 음식에 대한 그림을 보여주고 아이에게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림책이나, 사진 등을 보여주면서 사물에 대한 이름뿐만 아니라 아이에게 느낌까지 전달을 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면 '사과는 맛있다', '고양이는 야옹', '뜨거운 것은 아뜨거'라는 식의 형용사를 넣어 아이에게 전달을 해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으로 사물인식을 시켜줄 뿐만 아니라 언어발달을 시작하는 아이에게 조심하라는 등의 경각심을 심어줄수도 있습니다.
▶캐릭터를 통한 인식
아이에게 취향인 캐릭터가 나오는 애니메이션을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과거 TV시청은 아이의 지능에 도움이 안 된다고는 이야기하지만 오늘날에는 거리낌없이 보여주는 시대가 왔습니다. TV에 나오는 캐릭터의 이름과 행동을 이해하고 말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모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무심코 보여주는 것이 아닌, 캐릭터가 보여주는 행동을 아이 옆에서 말을 해주면서 느끼는 감정과 언어를 전달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캐릭터의 이름을 기억하게 되며, 캐릭터의 행동을 인식하게 됩니다. 이해는 하지 못하더라도 인식을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말을 많이 하는 부모
말이 줄어드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말보다 타이핑을 더 쓰게 되는 시대이기 때문에 아이의 앞에서는 부모의 대화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아이의 언어발달은 부모에게서 나타납니다. 말을 따라 하는 시기에 가장 특징적인 부분이기도 하는데, 부모가 말을 많이 하게 되면 아이도 인지를 하게 되어 말을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아이와의 대화
하루에 한 시간 정도는 아이와의 시간을 가지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밥을 먹일 때, 아이와 놀이를 할 때 등의 시간을 통해 대화를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밥 맛있어?'라는 대화를 건네보면서 아이와의 상호작용을 시도해야 합니다. 의무적로 아이와의 시간을 보낸다면 아이의 언어발달이 조금씩 늘어갑니다. 아이를 위탁하는 어린이집의 생활로 인해 사회성을 형성하면서 언어를 발달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되지 않는다면 아이의 발달 성장에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놀이를 통한 발달
24개월이 되어갈 때쯤 아이와 놀이를 해야 합니다. 집에서 할 수 있는 블록놀이, 인형 놀이 등 다양한 놀이를 통해서 아이와 상호작용해야 합니다. 시간이 되는 날에는 아이와 함께 밖으로 나가 아이에게 다양한 사물을 인지시켜주고 알려줌으로써 아이의 언어발달 및 인지능력에도 도움이 됩니다.
마치며,
최근 언어발달로 인해 많은 부모들이 걱정을 하고 있습니다. 언어발달은 아이의 성장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수단이기에 부모의 걱정은 클 것입니다. 아이와의 시간을 통해 성공적인 육아방법을 찾는 것이 가장 좋은 습니다.